본문 바로가기
후기

대기환경기사 실기 합격 후기

by KESG 2025. 1. 19.
728x90

썸네일

저번 포스팅에 이어서, 대기환경기사 실기 합격 포스팅을 시작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2021년 2회차 시험이긴 한데, 역대급으로 합격률이 낮았던 12%를 뚫었었습니다..

 

어떻게 공부를 해서 시험에 합격할 수 있었는지, 그 내용을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728x90

<이전 포스팅 참고>

 

대기환경기사 필기 합격 후기

이번 포스팅에서는 대기환경기사 필기 합격 후기를 다뤄보고자 합니다! 2021년 2회 차, 제가 대학교 4학년일 때 치렀던 시험이었는데 그때는 CBT도 치지 않았던 시절입니다. OMR로 마킹해서 풀던

wowdelicious.tistory.com

 

1. 실기 공부 시간

 

수질환경기사와 유사하게 3주 동안 공부했습니다.

 

한 가지 다른 점은, 여름방학 때 공부를 했어서 좀 더 여유롭게 공부하고 더 많이 준비했음에도 시간이 촉박했다는 점입니다.

 

제가 느끼기로는, 확실하게 수질환경기사보다 공부 시간이 더 필요한 게 맞습니다.

 

계산문제도 계산문제이지만, 개념 문제가 정말 방대하기도 하고 잘 안외워지기 때문입니다.

 

제가 머리가 안 좋아서 그런걸 수도 있는데, 순공시간을 거의 60시간은 잡은 거 같습니다.

 

하루 3시간씩, 3주동안 거의 쉬지도 않고 공부한 양입니다.

 

 

2. 실기 공부 방법

 

수질환경기사 실기와 동일합니다.

 

어쩌면, 모든 자격증 시험과 동일할 거 같네요.

 

'이해를 바탕으로 한 암기'였는데, 대기환경기사는 이해보다는 암기가 더 많았던 거 같습니다.

 

집진장치의 종류와 특징 같은 내용은 이해보다는 그냥 무작정 암기를 하는게 더 빠르니까요.

 

암기를 할 게 워낙 많다 보니, 저는 손으로 처음에 끄적이며 외우고 암기를 점검할 때는 노트북으로 한글 문서를 켜놓고 백지상태에서 타이핑하는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이게 확실히 효과가 좋았던 것 같습니다.

 

3. 실기 공부 회독 수

 

10년치 4 회독을 했습니다..

 

10년치 3 회독을 시험 전전날까지 해놓고, 시험 전날에는 정말 죽기 살기로 10년 치 전부를 1 회독했네요.

물론, 전날에는 암기가 확실한 건 한 번 눈으로 쑥 훑으며 점검하고, 끝까지 암기가 안 된 것들 위주로만 보긴 했지만요.

 

제가 여러 자격증들을 취득했지만, 단언컨대 기사 자격증 중에 제일 힘들었던 시험은 대기환경기사 실기였습니다.

 

 

4. 실제 2021년 2회 차 시험 후기

 

제가 앞에서 시험 합격률이 10%대에 그칠 만큼 괴랄한 난이도라고 했죠?

 

이게 어느 정도였냐면, 시험 시간이 2시간이 지났는데도 나가는 사람이 거의 없을 정도였습니다.

 

원래 시험이 평이하게 나오면, 1시간 30분 만에 거의 절반 이상은 우르르 빠져나가거든요.

 

아는 문제는 빠르게 풀고, 모르는 문제는 어차피 못 푸니깐 후다닥 풀고 그냥 집으로 가는 거죠.

 

그런데, 2021년 2회 차 시험은 너무나도 어려워서 사람들이 제대로 집을 가지 못했습니다.

 

특히, 계산문제가 참 어려웠습니다.

 

개념 문제는 좀 평이했는데, 계산 문제가 좀 꼬아서 나오기도 하고 그냥 암기를 하면 못 풀고 확실한 이해를 했어야 푸는 문제가 많이 나왔었습니다.

 

사람들이 한숨 쉬는 소리도 많이 나왔을 만큼 어려웠던 시험이었네요.

 

 

5. 실기 공부 꿀팁?

 

1. 산업기사 기출은 풀지 맙시다.

 

시간이 정말 여유로운 분이라면 모르겠는데, 그게 아니라면 산업기사 기출까지 풀 시간은 없습니다.

 

기사 기출들만 집중해서 공부하는 게 훨씬 효율이 좋습니다.

 

산업기사에서만 나오는 문제가, 기사에서도 출제되긴 하지만, 그 1문제를 위해서 시간을 쏟아붓기에는 너무 효율이 안 좋습니다.

 

 

2. 아무리 불안해도, 밤은 새우지 맙시다.

 

필기시험은 몰라도, 실기 시험은 정말 머리 많이 써야 하고 긴장이 많이 되는 시험입니다.

 

모르면 그냥 찍거나, 암기만 잘 되어 있으면 후다닥 풀 수 있는 필기와 달리, 대기는 전부 주관식 시험이니까요.

 

공부했던 내용을 더 잘 떠올리고, 잔실수를 줄이기 위해서는 잠을 많이 자서 최상의 컨디션으로 가는 게 필수입니다.

 

은근, 사람들이 대학 때 벼락치기 했던 경험을 떠올리면서 잠을 잘 안 자고 시험 치시는 분들이 있는데, 그러시면 안 됩니다.

 

제발, 시험 전날에는 그냥 연차를 내거나 자체 공강을 해서라도 시간을 확보한 뒤에 전체 복습 + 8시간 이상의 수면을 취해 주세요.

 

정말 최상의 컨디션으로 시험을 보셔야 됩니다.

 

3. 계산기 제발 빨리 두드리지 마세요.

 

기출에 나왔던 대로 똑같은 계산문제가 나오면 어찌나 신나는지 모릅니다.

 

나도 모르게 계산기를 후다닥 두드리면서 계산 문제를 풀곤 하는데요.

 

제발 그러지 마세요. 계산기는 꼭 숫자 하나하나씩 전부 눈으로 검사하면서 두드려 보시고,

다 두드린 후에 검산도 한 번 더 해보면서 또 풀어보세요.

 

꼭 맞춰야 하는 계산 문제를 틀리는 것만큼 억울한 게 없거든요.

 

 

6. 맺음말

 

우여곡절 끝에 대기환경기사를 취득하면 스펙이 정말 업그레이드됩니다.

 

공공기관은 물론이요, ESG, 환경관리 등에서도 꼭 필수인 자격증이기에 지원할 곳이 비약적으로 늘어납니다.

 

산업안전기사까지 취득한다면, 대기업 환경안전 부서에도 넣을 수 있는 스펙이 완성되지요.

 

물론, 그만큼 취득하기가 어렵고 스트레스도 많이 받는 시험이지만 보람도 많은 시험입니다.

 

꼭 열심히 하셔서, 취득하여 원하던 직장에 가시기 바랍니다.

 

 

728x90